fx-570ES PLUS 계산기의 solve 기능으로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해당 계산기는 fx-570EX와 사용법이 비슷하므로 fx-570EX solve 기능 사용법 글을 참고하셔도 좋습니다. 거기에는 조금 더 자세한 설명이 붙어 있습니다.
공학용 계산기 사용법 관련 인스타그램 계정을 개설하였습니다. 글로 작성하기 짧은 자잘한 사용법과 팁을 올립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목차
solve 기능의 간단한 이해
계산기는 뉴튼의 방법(Newton's method)을 이용하여 방정식의 해를 구합니다. 뉴튼의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 필요는 없지만 계산기를 이용하여 방정식의 해를 구하려면 아래 사항들은 꼭 숙지해야 합니다.
- 방정식의 해를 구하기 위해 초기 추정값이 필요하다.
- 보통 계산기는 초기 추정값과 가까운 해를 찾아낸다.
- 방정식의 해와 가까운 초기 추정값을 고를수록 대체로 해를 구하는 시간이 짧아진다.
- 한 번에 하나의 해만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여러 해를 찾으려면 초기 추정값을 변경해 가며 solve 기능을 실행해야 한다.
- 연속함수가 아닌 경우, 그래프 모양이 복잡한 경우에는 해를 아예 찾지 못하거나, 특정 해를 찾지 못할 수 있다.
또한 fx-570ES PLUS, fx-570EX 등의 계산기는 입력한 방정식을 저장하지 않습니다. 모드(메뉴)를 바꾸거나 계산기를 껐다가 켜면 입력된 방정식은 모두 삭제됩니다.
이 사항들을 숙지했다면 간단한 방정식과 복잡한 방정식을 차례로 solve 기능으로 풀어 나가며 계산기로 어떻게 방정식의 해를 구할 수 있는지 감을 잡아 가 봅시다.
solve 기능으로 해 구하기
아주 간단한 1차방정식부터 풀어 봅시다. $3x+2=11$의 해를 찾아 봅시다.
우선 방정식을 입력합니다. 일반 식처럼 입력하면 되는데, 입력하는 데 주의할 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 x는 ALPHA ) 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 등호(=)는 = 가 아니라 ALPHA CALC 로 입력해야 합니다.
방정식을 다 입력했다면 SHIFT CALC 를 누릅니다. Solve for X라는 화면이 나타나고 오른쪽 아래에 초기 추정값이 표시됩니다. Solve for X가 나타난 이 화면은 방정식의 해를 표시하는 화면이 아닙니다. 여기서 초기 추정값을 결정하고 = 을 눌러야 계산기가 해를 찾기 시작합니다.
초기 추정값을 0으로 결정하고 근을 구해 봅시다. 0 = 을 순서대로 누릅니다.
계산기가 $x=3$이라는 해를 구했습니다. 아래의 L-R은 방정식의 양 변에 구한 해를 대입하고 좌변-우변을 계산한 결과입니다. 보통은 0이지만, 이 값이 0과 꽤 차이가 있을 경우 해의 진위 여부를 검증하는 것이 좋습니다.
EQN 모드로 해 구하기
fx-570ES PLUS로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에는 solve 기능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 EQN 모드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EQN 모드와 solve 기능은 아래와 같은 차이를 지니고 있습니다.
특징 | solve 기능 | EQN 모드 |
---|---|---|
한 번에 찾을 수 있는 해의 개수 | 1개 | 1개~3개 |
임의의 형태의 방정식을 풀 수 있는가? | O | X |
허근을 찾을 수 있는가? | X | O |
연립방정식을 풀 수 있는가? | X | O |
표의 내용에 대해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임의의 형태의 방정식이란 $f(x)=0$ 형태의 방정식을 뜻합니다. $f(x)$에 다항함수, 로그함수, 지수함수, 삼각함수 등 여러 함수가 섞여 있어도 solve 기능으로는 해를 구할 수 있습니다.
그에 반하여 EQN 모드에서는 정형화된 형태의 방정식만을 풀 수 있습니다. 2차 방정식($ax^2+bx+c=0$), 3차 방정식($ax^3+bx^2+cx+d=0$), 2원 1차 연립방정식, 3원 1차 연립방정식을 정해진 형태에 계수만 대입하여 간단하게 근을 구할 수 있습니다. solve 기능과는 달리 한 번에 여러 개의 근을 구할 수 있고 2차, 3차 방정식의 경우에는 허근까지 구할 수 있습니다. solve 기능은 실근만을 찾을 수 있습니다.
더하여 복소수 계수의 연립방정식은 풀 수 없습니다. fx-570EX 혹은 fx-570CW가 있는 경우 fx-570EX/570CW 복소수 행렬 계산하기 글을 참고하세요.
3차방정식 해 구하기
MODE 5 를 눌러 EQN 모드로 진입합니다. 풀 방정식의 종류를 4가지 중 고를 수 있습니다. 1 은 2원 1차 연립방정식, 2 는 3원 1차 연립방정식, 3 은 2차방정식, 4 는 3차방정식입니다.
4 를 눌러 삼차방정식을 선택합니다. 삼차방정식 $2x^3-4x^2+\dfrac{x}{2}-1=0$을 풀어 봅시다.
a, b, c, d에 계수를 차례로 입력합니다. 마이너스는 (-) 로 입력해야 하는 점을 주의하세요. 또한 분수는 꺾인 ㄴ 형태로만 입력됩니다.
계수를 모두 입력하고 = 을 누르면 계산기는 세 개의 해를 모두 보여줍니다. 세 해는 $x=2$, $x=\dfrac{1}{2}i$, $x=-\dfrac{1}{2}i$입니다. ▲ 과 ▼ 을 눌러 모든 해를 볼 수 있습니다.
2원 1차 연립방정식 해 구하기
다시 MODE 5 를 눌러 EQN 모드로 진입합니다. 이번에는 1 을 눌러 2원 1차 연립방정식을 선택합니다.
연립방정식의 계수를 하나하나 입력하면 됩니다. 행렬 형태로 제시되었지만 계수의 위치를 보고 입력 위치를 잘 찾을 수 있습니다. 아래 제시된 연립방정식을 입력합시다.
$$\begin{cases}2x+3y=5 \\ x-y=0\end{cases}$$
계수를 모두 입력하고 = 을 누르면 해가 표시됩니다. ▲ 과 ▼ 을 눌러 두 해 $x=1$과 $y=1$을 모두 볼 수 있습니다.
연립방정식의 해가 존재하지 않거나 해가 무수히 많을 때에는 Math ERROR가 표시됩니다. 참고로 상위 계산기인 fx-570EX에서는 해당 상황을 Infinite Solution과 No Solution으로 구분하여 알려 줍니다.
삼각함수가 포함된 방정식의 해 구하기
다른 글에서도 이야기하였듯이 삼각함수는 주기함수이기에 삼각함수가 포함된 방정식의 해는 무수히 많습니다. 삼각함수가 포함된 방정식이 잘 풀리지 않는 경우 두 가지만 알아보고 간단히 넘어가겠습니다. 첫 번째는 간단한 삼각함수 방정식의 해가 매우 크게 나오는 경우입니다. 우리가 예상한 답은 60(도 모드에서)이지만 계산기는 10000020이라는 답을 내놓습니다.
해결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 초기값을 0 대신 20~30 등의 수로 지정한 후 solve 기능을 다시 사용한다.
- 역삼각함수를 활용한다.
이렇게 역삼각함수를 활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SHIFT cos 0 . 5 = 순서대로 누르면 됩니다.
두 번째는 제 다른 글에서도 소개한 적 있는 삼각함수가 포함된 복잡한 방정식입니다. 이 경우도 위와 해결법은 비슷합니다.
$$87.297=\sqrt{40^2+50^2+2 \cdot 40 \cdot 50\cos{\theta}}$$
이러한 방정식을 solve로 풀 때 첫 번째 방정식처럼 매우 큰 값이 나오는 문제가 있습니다.
카시오 공학용 계산기 사용법 FAQ 33가지! 글의 "solve를 썼는데 비정상적으로 큰 값이 나와요!" 부분을 참고하시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댓글 없음
아래의 댓글 입력을 클릭한 후 익명으로 댓글을 달아 주셔도 됩니다. 글 내용에 관한 질문도 환영합니다. 모든 댓글은 관리자의 승인을 받아야 보여집니다. 댓글을 달고 기다려 주세요.